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화살표 메서드
- C++
- 그림자 효과
- 다중상속
- 언리얼
- 렌더몽키
- 파이썬
- 3차원배열
- visualstudio2022
- 유니티
- 화살피하기
- Unity
- 가변배열
- 화살표 함수
- 셰이더
- 배열문제
- 이득우언리얼
- 표창던지기
- python
- 비주얼스튜디오
- c#
- swipe
- c++class
- premake5
- uidesign
- 이득우
- rendermonkey
- IMGUI
- 게임만들기
- 공부
- Today
- Total
신입 개발자 공부 과정
01/17-Unity 본문
*모노 붙은거는 컴포넌트로 부착해라
*모노 안붙은거는 생성자 만들고 new 써라
* w -> alt 누르면 보는 각도 변경
* 프로파일러= 윈도우->분석에 위치해 있고 자세한 status를 확인할 수 있다.
* 플레이시 인스턴화 되며 메모리에 올라간다
**스크립트를 생성하면 기본으로 MonoBehaviour를 상속받는데, 이때 기본으로 정의 되어 있는
using System.Collections;
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
using UnityEngine;
public class App : MonoBehaviour
{
// Start is called before the first frame update
void Start()
{
}
// Update is called once per frame
void Update()
{
}
}
**Start나Update같은 메서드 들은 이벤트 함수 또는 메서드라고 한다
**이건 우리 원하는 때 호출되는게 아니라, 유니티 엔진에서 알아서 호출될때 호출 한다
이런 이벤트 함수들은 생명주기를 가진다 (라이프 사이클)

Unity - Manual: Order of execution for event functions
Instantiating Prefabs at run time Order of execution for event functions Running a Unity script executes a number of event functions in a predetermined order. This page describes those event functions and explains how they fit into the execution sequence.
docs.unity3d.com
Time.deltaTime=프레임간 시간 단위
사용자의 프레임 률(frame rate)을 독립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.(기기 차이 없애기 위해서)
매 프레임마다 어떤 값을 더하거나 빼는 계산을 하는 경우에, Time.deltaTime과 곱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Time.deltaTime과 곱하는 경우에, 다음의 경우를 나타냅니다: 오브젝트를 프레임당 10미터가 아닌 초당 10미터 움직이고 싶은경우를 나타냅니다.
Unity - 스크립팅 API: Time.deltaTime
사용자의 프레임 률(frame rate)을 독립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. 매 프레임마다 어떤 값을 더하거나 빼는 계산을 하는 경우에, Time.deltaTime과 곱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Time.deltaTime과
docs.unity3d.com

player 게임오브젝트를 만들어서 PlayerGo변수에 assign해준다

벡터2 위치 변화(벡터 이용 거리구하기)
ex)이동거리, 스킬 거리 구하기 등에 이용 가능

길이구하기= .magnitude를 사용하여 구한다.
Vector2 startPos = new Vector2(2.0f, 1.0f);
Vector2 endPos = new Vector2(8.0f, 5.0f);
Vector2 direction = endPos - startPos;
Debug.Log(direction);
float length = direction.magnitude;//magnitude를 사용하여 길이구하기
Debug.Log(length);
'Unity3D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/20 구름 점프하기 (0) | 2022.01.20 |
---|